분류 전체보기

모듈 만들기
const odd = '홀수입니다'; const even = '짝수입니다'; module.exports = { odd, even, }; odd라는 변수와 even이라는 변수를 생성하고 각각 내용을 할당하였다. 그리고 module.exports에 위에서 선언한 odd와 even이라는 변수를 담은 모습을 볼 수 있는데, module.exports에 변수를 담게 된다면 다른 파일에서 이 파일을 불러올 때 담은 변수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. 즉 이 파일을 불러오면 odd라는 변수와 even이라는 변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. const { odd, even } = require('./var'); function CheckOddOrEven(num) { if ( num % 2 ) { return odd; ..

6.5 undefined 타입
💡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암묵적으로 undefined로 초기화한다. undefined는 변수를 선언한 뒤 이후 값을 할당하지 않은 상태에서 변수를 불러오면 undefined가 반환된다. 만약 변수를 불러왔는데 undefined라는 값이 반환되었다면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라는것을 알수 있다.

6.3 템플릿 리터털
템플릿 리터럴이란? 👉🏻 멀티라인, 표현식 삽입, 태그드 템플릿등 편리한 문자열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문자열 표기법이다. 사용하는 방법 템플릿 리터럴을 사용하는 방법은 위 사진처럼 백틱을 사용해 문자열을 감싸주면 된다. 1. 멀티라인 문자열 일반 문자열 일반 문자열의 경우 줄바꿈이 허용되지 않기때문에 위 사진처럼 SyntaxError가 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. 템플릿 리터럴을 사용한다면? 하지만 템플릿 리터럴을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이 줄바꿈을 해도 전혀 오류가 나지 않는다. 2. 표현식 삽입 일반 문자열 + 연산자를 이용하여 여러 문자열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템플릿 리터럴을 사용한다면? ${ } 을 이용하여 감싸서 사용하면 위 사진처럼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